젠하이져 MX 400 RC
갑자기 여분의 이어폰이 필요하여 정말 간만에 다시 이어폰 survey에 들어갔다. 역시나 네이버 카페인 '닥터 헤드폰'을 가장 먼저 방문하여, 여분의 이어폰으로 적합한 저가의 이어폰이 뭐가 있나 들여다 보았다. 근데 이건 마치 헤드폰 처음 고를 때, PX-200이 정말 많이 눈에 띄는 것 만큼이나 저가 이어폰에서는 MX-400이라는 놈에 대한 얘기가 참 많았다. 벌크는 2~3천원 정품은 6~9천원 정도하는가 보다..
일단 젠하이져의 제품인 만큼 저음 성향이 강하다는 기본을 깔고 있었고, 저가임에도 불구하고 베이스를 잘 살리고 고음에서도 문제없는 소리를 들려준다는..뭐 만원도 안하는 이어폰에서 음질을 찾기 보다는 행여나 정말 어이없는 놈을 골라서 괜히 만원이라도 날릴까봐 최소한의 검색을 해 본 것이었다. 가격이 가격인 만큼 소리는 가격대 성능비라는 말이 항상 앞에 붙어 있었으며, 그 뒤에는 최강이라는 단어가 따라왔다.
즉! 가격대 성능비 최강 이어폰 MX-400 이라는 거다. ^^:
그 다음으로는 이녀석 정품, 아이리버 번들, 신형/구형, 벌크, RC, SE,... 뭐 종류가 굉장히 많은거다.. 그리고 400 이후에 나온 녀석들과의 도토리 키재기 논쟁도 꽤 있었다. 구형은 좋았는데, 요새 신형은 베이스가 별로라는 둥, 이제는 MX-450을 사야 한다는 둥.. 좌우 유닛간의 줄의 길이가 대칭 비대칭인 종류 등등등.. 괜히 골치아파서 그냥 선이 짧은 것으로 골라 연장선에 이어서 쓰려고 짧은게 뭔지 보니 바로 MX-400 RC 였다. 어이없게 가격은 긴 것에 비해 약 2천원 정도 더 비싸다는.. (예전부터 이게 참 궁금했는데 '경제학 콘서트'를 읽고 나서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었다. 혹 같은 궁금증으로 오래 고생(?)하시는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시기를..)
구입하고 보니 일단 처음 단점부터 들어왔다. 청음을 하기 위해 딸려온 이어솜을 장착하려는 순간 정말 너무도 쉽사리 이어솜이 찢어져 버린거다. 뭐 별거 아니지만 싸구려 티 팍팍..^^; 이어솜 없이 그냥 꼽아보았다. 생각보다 뭐 착용감은 괜찮은듯.. 내가 워낙 착용감에 민감한 스타일인데도 그냥 무난한 느낌이었다. 이어솜이 없어서 오히려 나같은 작은 귀에 더 맞는지도 모르겠다. 그 다음 소리!. 음.. 역쉬 만원정도의 소리를 들려주는 듯 했다. PX-100에서 느끼던 공간감이나 베이스의 울림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친구의 3만원 호가하는 소니 커널형에 비해 훨씬 나은 음질을 들려주었다. (어쩌면 내 취향이 그 소니 커널형에 맞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자연스러운 음감에 적절한 베이스.. 저음 성향으로 인해 젠하이져에서 느껴지는 약간의 답답함도 고대로.. 가져온듯 하다.. E700의 고음성향을 기대하면 안됨!
뭐 결국엔 만원어치의 이어폰을 잘 구입한것 같다. 여분으로 필요한 것이었기에 편하게 들고 다니며 들을 수 있게되었다는..^^